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오염수 방류 이유 및 미칠 영향

by N잡러러 2023. 8. 26.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 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를 2023년 8월 24일 오후 1시 3분을 시작으로
하루 460톤씩 방류를 시작했다. 최근 뉴스든 언론을 통해서 이슈가 되고 있는 오염수 방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쿄전력은 해수 이동 펌프를 가동해 대형 수조에 보관한 오염수를 바다로 흘려보냈다. 일본 정부가 지난 22일 각료회의에서 결정한 오염수 해양 방류 방침에 따른 것이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제1 원전 부지 저장탱크에 보관한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해 방류했으며,  ALPS 정화 처리 뒤에도 걸러지지 않은 삼중수소는 바닷물 희석을 거쳐 일본 규제
 기준의 40분의 1 수준인 ℓ당 1천500베크렐(Bq) 미만으로 만들었다는 것이 도쿄전력 설명이다.

1. 일본은 왜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려고 하는가요?
2011년 쓰나미에 이은 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으로 냉각 시스템이 파괴되고 원자로 노심이 과열되어 시설 내 용수가 고농도 방사성 물질로 오염되었다. 이후 도쿄전력은 원자로 연료봉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투입하고 있다.
 그 결과 매일 원전에서 오염수가 생성되고, 이는 1000여 개의 탱크에 저장된 상태로 후쿠시마 핵발전소 부지에 보관 중입니다.
 이는 올림픽 수영장을 500개 넘게 채울 수 있는 양니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더 이상 보관할 장소가 없다는 이유로 해양에 방류하려 하고 있습니다.

2.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되면 우리 바다에도 영향은 없나요??

 방사능 오염수가 방출되면 후쿠시마 앞의 바다를 비롯해 태평양을 오염시키고 물론 우리 바다에도 일부 방사성 물질이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일본 가나자와대학 이노마타 교수 연구에 따르면 “후쿠시마 사고 당시 방류된 방사성 물질이 남중국해를 거쳐 동해로 들어오는데 약 1년 정도가 걸린다”라고 말했습니다.

3.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일본 내에서도 오염수 방류에 대한 후쿠시마 어민들의 강력한 반대가 있고, 한국, 대만, 중국 등의 주변국 모두 반대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를 계속 추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UN 해양법 협약이나 런던 의정서에 해양 오염과 원자력 폐기물의 해양 투기를 금지하는 내용들이있는 상황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를 막기 위해 우리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국제 사회와 함께 대응해야 합니다.

 

4. 유입 예상 시기는?
 작년 2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시뮬레이션 결과 오염수가 태평양을 시계 방향으로 돌아 제주도 남단 해역으로 본격적으로 유입되기까지 약 4~5년이 걸린다고 밝혔다.  다만 계절적 영향으로 인해 삼중수소가 방출 2년 후 국내 해역에 일시 유입될 수 있지만, 이때 농도는 국내 해역 평균의 10만 분의 1 수준일 것으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