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빈대란
빈대는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성충기에 사과씨 정도의 크기인 작은 갈색 해충입니다. 피를 빨아먹은 후에는 크기가
부풀어 오르며 선홍색이나 암적색으로 변합니다. 빈대는날개가 없으며 날거나 뛰어오를 수 없습니다. 대개 침실 근처에 서식합니다.
빈대는 매우 날씬하고 편평한 몸체로 작은틈, 공간에도 들어갈 수 있고 피를 먹지 않고 오랫동안 그 자리에 머물 수 있음
야간 활동성으로 저녁보다는 이른 새벽(3~4시)에 흡혈 활동을 합니다.
약 10분간 몸무게의 2.5배~6배 피를 흡혈하며, 섭취한 피의 수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내보내는 반 액체성분의 배설물은 특유의 냄새가 납니다.

2. 빈대는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빈대가 사람에게 질병을 퍼뜨린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빈대에 물릴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거나 가려운 빨간색 혹이
나는 등 광범위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를 빠는 빈대를 건드릴 경우 동일한 곳을 한 번 이상 물기 때문에 좁은
부위에 여러 개의 물린 자국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렸을 경우 별다른 통증은 없으나 하루나 이틀 후에 가려움 증상이
나타납니다. 물린 데를 긁으면 감염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빈대에 노출될 경우 불안해하고 골칫거리라
여깁니다.
3. 빈대의 생명주기?
빈대의 일생은 알, 유충 및 성충의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달라붙을 수 있도록 막으로 둘러싸인 알은 대략 6~17일
내에 부화합니다. 유충은 부화 즉시 먹이를 먹습니다. 다자란 빈대는 피를 빨아먹을 숙주가 없을 경우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위치 또는 환경 조건에 따라 12개월 이상 생존가능합니다.
4. 빈대는 어떻게 생존하나요?
다 자란 빈대는 주로 알을 생산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사람의피를 먹습니다. 유충이 성충 빈대로 자라기 위해서는 피가
필요합니다. 빈대는 단계에 따라 대개 3~15분 동안 피를빱니다. 피를 빤 후에는 침실 주변의 은신처로 돌아갑니다.
5. 집에 빈대가 어떻게 들어오나요?
집이 깨끗하지 않고 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빈대가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빈대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짐, 가구 또는 가정용품 같은 물건을 따라 이동이가능합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 매트리스, 침대 스프링, 천을
사용한 가구, 가정용품, 전자 제품, 책 또는 그림을 통한 이동입니다.
6. 빈대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설명이 불가능한 물린 자국 또는 빨간색 혹
▷ 침대 시트, 매트리스 또는 침대 스프링의 검은색 또는 암적색 자국
▷ 유충의 탈피 흔적
▷ 살아 있거나 죽은 빈대
▷ 빈대가 많을 경우 퀴퀴하거나 고수향 같은 달콤한 냄새가 남
7. 물렸을 때 증상, 치료방법
▷ 물린 후 발진(붉은 반점)과 가려움증이 빠르면 1시간, 늦으면 14일 이후 나타나며 1~5일간 지속됨
▷ 일반적으로 치료 없는 1~2주 내에 회복을 하나 빈대가 분비하는 타액으로 인해 아나필락시스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알러지 반응)가 드물게 나타나기도 함
▷ 해당부위를 긁지 말 것. 가려움증과 2차 감염을 예방하기 병원 내방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8. 예방 방법
▷ 빈대에 오염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물건(오래된 책, 중고가구 등) 함부로 집안으로 옮기지 않기
▷ 갈라진 틈, 벽지 등 집안의 손상된 부분을 미리미리 확인 및 수리하여 빈대 서식처 최소화하기
▷ 여행 중 빈대에 경험이 있으면, 여행용품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
9. 청소 방법
▷ 진공청소기(헤파필터)를 이용하여 자주 침대 매트리스와 실내공간 청소하기 및 환기하기
- 청소 후 청소기 내용물은 비닐 봉투에 밀봉하여 바로 폐기
▷ 옷과 침구류는 고온 세탁 및 건조 후 비닐 봉투에 밀폐하여 보관
▷ 빈대에 감염되가나 의심이 되는 것은(옷, 침구, 책 등) 비닐봉지에 담아 밀봉하여 폐기
▷ 빈대를 발견 했을때는 테이프로 신속하게 포획하거나 휴지를 이용하여 눌러 바로 죽임
10. 빈대의 주요 서식지
▷ 침대 주변
- 침대헤드, 매트리스 및 베개 시접 부분, 이불 이음새, 침대 스프링 및 프레임 틈새 등
▷ 주변 가구
- 협탁(탁자), 소파 틈새 등
▷ 기타 서식 장소
- 갈라진 벽면, 창틀, 콘센트 주위, 벽에 걸린 액자 뒷면, 바닥과 벽면이 맞닿는 곳의 갈라진 틈새, 커튼 사이, 카펫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