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콩은 검정콩 또는 흑대두라고도 부르는데, 특정한 한 종류의 콩뿐만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합니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검은콩 효능 중 가장 탁월한 것이 노화방지입니다.
실제로 검은콩은 일반콩 보다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검은콩 효능 및 보관법, 먹는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검은콩의 효능
1) 노화방지
검은콩의 플라보노이드계 '안토시아닌'색소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 성분도 풍부해 혈액순환 개선 및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합니다. 검은콩에 들어있는 '레시틴' 성분은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두뇌 영양 공급에 도움이 됩니다. 검은콩에는 단백질 40%, 불포화지방산 20%, 탄수화물이 11% 정도 들어 있어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다이어트, 어린이 발육에도 좋습니다.
2) 뇌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레시틴
검은콩뿐 아니라 일반 콩에도 풍부하게 들어있는 레시틴 성분은 수험생과 노인에게 특히 좋다. 대표적인 뇌 활성 물질로 대뇌 활동을 활발하게 도와주는 아세틸콜린의 감소를 억제해,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발달시킨다. 레시틴의 또 다른 기능은 혈관 내 콜레스테롤이나 지방 성분을 흡착해 배설하는 것으로, 혈관에 노폐물이 끼는 것을 막아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3) 변비와 성인병 예방 효과
검은콩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어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되고, 콩에 있는 '제니스틴'은 암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있습니다. 또 검은콩에는 모발 성장에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이 풍부해 탈모 방지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간과 신장이 허약하고 혈액순환이 좋지 않으면 모발 건강이 좋지 않다고 여긴다. 검은콩은 신장을 강화시키고, 해독력이 뛰어나 간의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파괴된 인체 조직을 빠른 속도로 회복시켜주며, 비타민E와 불포화지방산이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두피까지 도달하지 않았던 영양 성분이 검은콩을 섭취하면 제대로 전달되어 탈모와 흰머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검은콩은 체내 독소를 풀어 주고 신장 기능을 도와 소변 기능을 원활하게 하며, 부기를 가라앉힙니다. 통풍, 당뇨병, 심장병이 있는 사람은 식초에 검은콩을 3:1 비율로 하루 절여 두었다 먹으면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습니다.
4) 중년 여성에게 좋은 이소플라본
식물성 여성호르몬인 이소플라본은 우리 몸의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해 폐경기 여성의 건강에 좋은 성분이다.
검은콩에는 일반 노란 콩과 비교할 때 이소플라본의 양이 많지 않지만, 체내에 흡수되면 4배 이상 강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인공적인 에스트로겐이 일으킬 수 있는 유방암 등의 부작용 위험이 적어 폐경기 증후군, 골다공증 등의 예방에 좋다.
검은콩이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이유도 이소플라본 성분에 있다.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글리시테인은 항암 물질 중
하나로 노란 콩의 껍질에서는 발견되지 않지만, 검은콩의 껍질에서만 1g당 500ug가 검출된다.
5) 미용에 좋은 비타민 E
피부를 위해 검은 콩을 챙겨 먹는 여성들도 많은데, 콩에는 육류만큼 풍부한 단백질이 들어있고 이 단백질이 피부 탄력 섬유인 콜라겐의 재료가 되기 때문. 또 검은콩에 함유된 비타민 E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항산화 효과가 있어 피부 미용과 노화 방지에 좋다.
2. 먹는 방법
1) 검은콩차
따뜻한 검은콩차는 만드는 법이 간단해 집에서 즐기기 좋은 차이다. 먼저 씻은 검은콩을 잘 말린뒤 프라이팬에 볶아준다.
콩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10분간 끓인 후 까만 콩물이 우러나면 체에 걸러 마시면 된다. 해독작용을 원하거나 다이어트시 먹으면 도움을 준다.
2) 콩물
씻은 콩을 냄비에 넣고 물을 붓고 끓인다. 이후 약한 불에 물의 양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다. 체로 걸러 그릇에 담은 후 기호에 따라 쌀엿을 넣어 마시면 된다. 콩을 삶아서 우려낸 물은 마시고, 콩 건더기는 조림 등 반찬으로 만들어 먹으면 알뜰하게 콩을 활용할 수 있다.
3) 초콩
초콩은 콩을 식초에 숙성시킨 식품으로 꾸준히 먹으면 고혈압이나 신경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콩을 만들려면 씻은 검정콩을 유리병에 담은 후 콩과 식초를 1:2 비율로 넣어준다. 일주일 동안 숙성시켜 주면 비린 맛이 사라진 초콩이 완성된다. 초콩은 반찬으로 먹거나 식후 1스푼씩 먹어도 좋다.
4) 검은콩 두유
프리미엄 두유로 인기가 높은 검은콩 두유는 집에서도 만들수 있다. 식품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아 집에서 만들면 더욱 건강하게 마실 수 있다. 먼저 검은콩을 하룻밤 정도 충분히 불려 삶아준다. 덜 삶으면 비린 맛이 나고,
오래 삶으면 색이 칙칙해지므로 삶기 조절에 주의해야 한다. 삶은 콩은 체로 물기를 빼준 후 믹서에 두유, 소금과 함께 넣고 갈아준다. 체에 한번 거른 다음 쌀엿을 섞어 그릇에 담아내면 된다.
5) 검은콩 스프
삶은 검은콩은 부드럽고 따뜻한 수프로 이용하기 좋다. 믹서에 삶은 검은콩과 생크림, 우유를 넣고 곱게 갈아준 다음 소금과 굵은 후춧가루를 넣으면 완성이다. 요리과정에서 검은콩을 충분히 삶아줘야 수프의 부드러운 식감을 낼 수 있다.
3. 손질하는 법
검은콩을 깨끗이 손질하여 불렸놓았다가 밥에 넣어서 먹으면 좋습니다.
같은 곡물류는 장기간보관 시에는 위생팩에 밀봉하시어 냉동보관하시는게 가장좋습니다.
상온에 보관시에는 벌레가 끼어들 가능성이 있고 또한 곰팡이가 필 가능성이 있으며
냉동실에 보관하실 때보다 빨리 마를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지퍼락 같은 것으로 잘 밀봉하신다면 냉장고냄새도 배지 않고 검은콩이 말라버릴 걱정도 없답니다.
4. 검은콩 보관방법
보관온도 18℃ - 22℃에서 검은콩의 수분함량은 11% 이하로 유지하도록 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면 됩니다.